원천쌤 [492790] · MS 2014 · 쪽지

2014-02-07 18:02:15
조회수 5,189

끝내는 의대를 간 국어치 송모 학생을 추억하며

게시글 주소: https://banana.orbi.kr/0004323917

끝내는 의대를 간 국어치 송모 학생을 추억하며

           - 자신을 국어치라 여기는 학생들을 격려하려 쓴 글입니다.

 

 

 국어 과목을 가르치는 것을 업으로 삼고 살아가다 보면 국어 과목이 입시에서 뜻밖의 복병이 되었다고 곤란을 호소하는 학생들을 뜻밖에 많이 보게 됩니다.

 

 2년 전에 만난 송모군도 그러한 학생이었지요.

 

 이 친구는 큰 꿈을 품고 과고를 진학했으나 입학 이후에 자신감을 잃었다 합니다.자신보다 똑똑한 사람이 참 많은데 놀라고 그 사람들과 경쟁해서 과학기술 분야에서 존재감을 드러낼 수 없다고 단념해 버렸답니다. 그냥 자신처럼 평범한 사람이 무난하게 일생을 살아갈 수 있는 직업을 찾기 위해서 의대를 가기로 결정하고 고2때 자퇴를 합니다.

 

수능 과목에 대한 준비가 부족했던 친구는 특히 영어와 국어를 힘들어 했는데, 영어는 1년 동안 열심히 공부해서 원하는 수준까지 올라왔지만 국어는 해결하지 못한 상태로 제가 근무하는 학원에 왔고 저랑 만나게 됩니다. 악연(?)이 시작된 것이죠.

 

이 친구는 정말 열심히 공부했는데요, 수업 시간 중이나 수업 시간 후에 질문을 하면 제가 멘붕에 빠지기도 했습니다. 참으로 많은 사례가 있지만 대표적인 하나를 소개하면 이렇습니다.

 

당시 EBS에 수록된 백석 시인의 수라라는 시를 자신이 이해한 방식으로는 문제가 풀리지 않는다는 겁니다.

 

백석의 수라전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익히 아시는 분이면 패스~

 

---------------------------------------------------------------------------

거미 새끼 하나 방바닥에 나린 것을 나는 아무 생각 없이 문 밖으로 쓸어버린다

차디찬 밤이다

 

어니젠가 새끼 거미 쓸려나간 곳에 큰 거미가 왔다

나는 가슴이 짜릿한다

나는 또 큰 거미를 쓸어 문 밖으로 버리며

찬 밖이라도 새끼 있는 데로 가라고 하며 서러워한다

 

이렇게 해서 아린 가슴이 싹기도 전이다

어데서 좁쌀알만한 알에서 가제 깨인 듯한 발이 채 서지도 못한 무척 적은 새끼 거미가 이번엔 큰 거미 없어진 곳으로 와서 아물거린다

나는 가슴이 메이는 듯하다

내 손에 오르기라도 하라고 나는 손을 내어미나 분명히 울고 불고 할 이 작은 것은 나를 무서우이 달아나버리며 나를 서럽게 한다

나는 이 작은 것을 고이 보드러운 종이에 받어 또 문 밖으로 버리며 이것의 엄마와 누나나 형이 가까이 이것의 걱정을 하며 있다가 쉬이 만나기나 했으면 좋으련만 하고 슬퍼한다

- 백석, <수라(修羅)>

----------------------------------------------------------------

       

 방 안에서 거미 새끼 한 마리를 본 화자는 무심코 그 거미 새끼를 문 밖에 버린 후곧 큰 거미를 발견하고는 자신이 방금 버린 거미의 어미라고 생각합니다. 자신이 거미 가족을 이산 가족으로 만들었다는 생각에 슬퍼하며 큰 거미도 밖으로 내보내지요.  새끼 거미를 찾아가라고요. 잠시 후 이번에는 정말 갓 태어난 듯한 채 서지도 못하는 무척 작은 새끼 거미를 보고 자신이 이 거미를 형제와 어미와 헤어지게 만들었다고 더욱 슬퍼집니다. 이 시의 제목이 수라(‘아수라의 다른 표현, ‘하늘에서 쫓겨난 사람들이 사는 세계')인 이유가 짐작이 가지요.

 이 친구는 이 시를 어떻게 해석했을까요?

 
 자기가 사는 아파트 자기 방에 하룻밤에 거미같은 벌레가 3마리가 나오면 정말 끔찍할 것 같다. 벌레 나오는 집에서 사는 고통을 호소한 시가 아니냐? 왜 그렇게 해석하면 안 되냐?라는 것이 이 친구의 주장이었죠.

 

 백석이 어떤 시를 썼으며, 어떤 삶을 살았다를 구구절절하게 들먹이는 것은, 문학을 전공하는 사람끼리라면 몰라도 수능 과목으로 국어 문제에 접근하는 학생, 특히 이과 학생에게는 별로 도움이 되는 방법이 아니겠지요?

    
 결국 시란 무엇일까? 교과 과정에서 시를 가르치는 이유는 뭘까? 그렇다면 수능에 나오는 시들을 접근하는 기본적인 관점이 뭔가?를 이야기하고   다음의 말을 꼬옥 기억해달라는 당부하는 것으로 답을 했습니다.

 

 “자연물이 부정적인 상황이 강조되면 그 자연물은 화자의 대응물이다, 곧 화자 자신이다.”

   

  수업이 끝나고 질문이 있는 학생들이 자기 차례를 기다리며 줄을 서있을 때, 우리 송군 뒤에 줄을 서는 학생은 포기하고 돌아가고는 했습니다. ‘쟤는 쉬는 시간 내에 질문을 끝낼 것 같지 않아요.’고 말이지요.

 

 사실 저도 이 친구를 보면 때로는 가슴이 철렁했습니다. 특히 제 수업 교재 외에 몇 권씩 책에다 포스트 잇을 덕지덕지 붙여서 서 있는 걸 보면 이 녀석에게 시달리다가 바로 다음 수업 들어 가겠구나뭐 이런 생각도 솔직히 들고요.

 

 그러나

 

 나에게는 일주일에 몇 십분(-..-)이 괴롭거나 난감하겠지만, 본인에게는 가장 큰 인생의 고민일 수도 있지 않겠습니까? 무엇보다 열심히 하는 학생을 외면하는 선생을 없을 겁니다. 또 내가 납득 못시키는 학생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기도 싫었구요.

 

    이 친구는 학원이 종강하는 그 날까지 꾸준히 공부하고, 끊임없이 질문을 했구요, 점점 황당한 질문은 줄어들더군요.

      

 

그리고 수능 다음날 언어 다 맞았다고 문자를 보내주었네요. 어찌나 신기하고(?) 기쁘던지.

   
 사실 수학은 잘 하는데 국어를 못하는 것은 매우~ 신기한 일이라는 게 내 생각입니다.

 수능 국어 문제를 푸는 것은 시를 쓰는 것보다는 수학 문제를 푸는 쪽에 가까운 사고 활동이니까요.

 제대로 관점을 잡고 다가서면 노력하면 수학 공부의 반의 반의 반의 반의 노력으로 정복이 가능한 과목이 국어라는 게 국어 선생으로서 믿음입니다. ^^
 

 (흉부외과를 전공하면 먹고 사는 데는 문제가 없을 것 같다는 소박한(?) 꿈을 안고 끝내 의대에 간 송군!

의대에서도 그 열정으로 항상 열공하기를~)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