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받아요
22, 23 미적 100이고
서울대학교에서
공학(전기정보 or 컴퓨터)과 자연과학(수리 or 통계)
을 복수전공하고 있습니다.
밥 먹을 동안
암거나 질문해주시면 성실히 답변 드리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22, 23 미적 100이고
서울대학교에서
공학(전기정보 or 컴퓨터)과 자연과학(수리 or 통계)
을 복수전공하고 있습니다.
밥 먹을 동안
암거나 질문해주시면 성실히 답변 드리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설대는 n수 별로 없나요
생각보다는 꽤 있어요
전기정보 코딩 배우나요
네 배웁니다
요새 코딩 안 배우는 과 찾아보기 힘들어요
밥 뭐드시나요
알리오올리오 먹으려고요
코딩은 노력보단 재능이 심하게 타는걸 느끼시나요
아뇨
솔직히 물리 쓰는 다른 공학 분야가 더 재능 탑니다
코딩은 머리보단 그냥 쳐맞으면서 하는 경험이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물론 머리가 정말 좋으면 덜 맞아도 되겠지만요
코딩은진짜 하다보면 어케든 할수있는방법이 보인다고들 하는데
그 뭐 역학 이런거는 답없으면 그냥 벽느껴진다던데
확실히그럼?
내가 전공으로 물리를 하지는 않고 개인차가 있을 수는 있지만 컴퓨터 수학 둘 다 제대로 하는 내 입장에서 봤을 땐
컴퓨터는 “아 ㅆㅂ ㅋㅋ“라면
수학이나 물리는 “아...“임
뭔 느낌인지 알겠음?
아..<<뭔말알 ㅋㅋ
여기서 t->|f(b)|-일때 교점이 b+,b-로 나오므로 각각 b와 같다고 보아서 2b라고 쓸수 있는것이라면 교점을 구할때 긋는 함수 y=|f(b)|-는 왜 |f(b)|와 같다고 할수 없는 것인가요?
g(t)를 그려보시면 이해가 더 잘 될 텐데, 이 문항에서는 |f(b)|에서의 극한이 존재하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수학적으로 엄밀한 설명은 아니지만..
교점 b+ b-를 상수처럼 이해하시면 안 됩니다. 쟤네는 t에 좌극한을 취한 “상태“에서 b에 다가가고 있는 “상태“의 수입니다. 그러니 lim가 씌어있는 조건 하에서 b와 같다는 등식이 세워질 수 있는 겁니다.
같은 맥락에서 |f(b)|- 역시 상수가 아니라 |f(b)|보다 작으면서 |f(b)|에 다가가고 있는 “상태“의 수입니다.
이게 극한이 존재한다는 전제(좌극한과 우극한이 일치한다는 전제) 하에 상수처럼 이해하는 것이 문제를 안 일으킬 뿐이지 원래는 옳지 않습니다.
ㅋㅋㅋㅋ 글 왜 삭제함?
삭제하는 건 제 맘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