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작문제) 거리의 합의 최소를 구하는 방법
제가 알기로는 평가원에서 아직 공통에 이 소재를 쓴 적이 없는 것으로 아는데 아마 교육과정 안에 있는지 상당히 애매하기 때문인 것 같네요.
교육청에서는 몇 번 출제했던 것 같은데 평가원의 생각은 어떨지 궁금하네요.
개인적으로는 이 문제와 같이 특정 개념을 알면 쉽게 풀리고 모르면 아예 손도 못대는 문제는 그다지 좋은 문제는 아닌 것 같습니다.
어찌 되었든 이런 소재도 있으니 한번 기억해두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개웃곀ㅋㅋ
-
230명 모집에 예비 18번인데 무조건 빠지겠죠,,,?
-
얼버기 12
-
필수의료 패키지에는 개원허가제라는 제도가 포함되어있는데 쉽게말해서 인턴 레지던트를...
-
앙 0
앙
-
살좀빼야겠다 2
일 그만두고 한달 쉬었다고 살 오르네 왜 얼굴로 찌냐 짜즈응
-
팔로우 신청 안 오는 건가 흠
-
겜이 안잡히네 1
심심
-
초비상이다.. 12
다크서클 진해진다..
-
얼버기 2
사실 배그하느라 밤샘
-
기차지나간당 18
부지런행
-
ㅇㅈ 어떻게 그렇게 하능거냐 20초 그것도 어릴 때 사진 하는데도 쫄려 죽겟는데
-
국어- 권규호 수학- 신승범, 삽자루 영어- 심우철, 로즈리 한국사- 설민석,...
-
옴뇸뇸
-
하프타임쇼는 봐야지 응응
-
ㅎㄷㄷ
-
안녕 오르비 6
반갑다는 뜻
-
개강하면 왕복 세시간인데.. 1교시 주에 세번인데.. ㅈ됏다
-
하 그냥 ㅈ같다 0
fa마저 탈락
-
맹신할까봐 무서움 나라면 그럴거같음
-
특정당할거같다 저런 ㅈ같은 지휘관이 또 있을리가
-
윷놀이 3
ㄹㅈㄷ꿀잼 수고많았어요 낼도 ㄱㄱ합시다
-
편입이라도 8
하려고 했는데 요즘엔 대학 가기 싫다 차피 주식 할 거라서 대학 안 나와도 되긴 함...
-
나만 그런가
-
아쉽네
-
생물로 태어난 이상 생존의 문제를 짊어질 수 밖에 없고, 인간으로 태어난 이상 모든...
-
내일을 위해 12
취침
-
일본가고싶다 1
일본어 배우는 중임
-
시간이너무빠르다 0
2월중순이네.
-
어떡하지 9
현우진 관련글 보면 상쇄드립치고 싶음 우진쌤 사랑합니다ㅎㅎ..
-
군대 << 그리움 대학생활을 안해서 그런가 미화돼서 그런가 진짜 대장년이 지독ㅎㅏ게...
-
현우진이 거품인 이유(김기현이 1타여야하는 이유) 11
1. 뉴런 vs 아이디어 대부분 수학에 대해 착각하는 것이 다양하게 배우는 것이...
-
큰일낫다 14
잘자요… 진짜 잠
-
자꾸자다깨는거 0
매일피곤해
-
진짜잠 4
내일기상가능한가.. ㅇㅇㅅㅁ
-
중1 170 > 중2 182 신검 때 184였는데 두달 전에 건강검진 받았는데...
-
다들파이팅
-
아니 임티 왜 깨지는데 22
뭔데
-
키도 나름 크고 나름 멀쩡하게 생겨서 다행 이거마저 없었으면 죽엇을 듯
-
의뱃 민초맛 15
다소의역) 의뱃단 사람들은 민초단이다
-
현역 > 지금 대학 입학 재수 > 다 올랐는데 국어 4 박아서 실패 삼수(군입대)...
-
실제로수능여섯번봤음..
-
유기하기 진짜임 부작용 책임 안 짐
-
형이야ㅋㅋ
-
쓸데없는 재능 1위 ㅋㅋㅋ...
이거 축에 대칭시켜서 직선만드는 아이디어였나요?
네 맞습니다.
이거 아직 평가원에 안 나왔나요? 처음 알았네요
아마 공통 범위에서는 못 본것 같은데... 사실 저도 완벽히 찾아본건 아니라 아닐 수도 있습니다
드릴 수1에서 본거같은데
직선을 경유하는 최단경로였나
1인가용
대칭시켜서 푸는건 고1수학에 많이 나왔던거같아요
중학 수학에서 주구장창 한ㅋㅋㅋㅋ 강건너기
오히려 옛날놈(?)이라 익숙한
대칭 시켜서 직선을 이룰 때 이거 중딩 때 개 많이 보긴 한 듯
고1 교육청 모고에는 단골소재
이거 수상인가 수하에 함수의 대칭해서 머 있지않나..
교과서를 좀 찾아보니 부록 같은 느낌으로 기재되어 있는 교과서도 있네요
![](https://s3.orbi.kr/data/emoticons/orcon/036.png)
수특 수1 지수함수에 예제로 있었던 것 같은오 비슷한 느낌의 문제가 있네요.
![](https://s3.orbi.kr/data/emoticons/dangi_animated/004.gif)
로그함수였네요풀면서 진짜 낼게 많이 없어졌나 이 생각 했어요
AP 기울기 -6까지는 최솟값 조건으로부터 도출 가능
A의 y좌표랑 B의 y좌표 비가 1:2이므로 P의 x좌표는 a+1/3일 거임
고로 B의 x좌표랑 P의 x좌표 차는 2/3이니 기울기 정의에 의해 b의 y좌표는 4
2^a+1=4이니 a=1
기벡에서 저거 안나왔나 나왔을거같은데
일단 공통 범위에서 찾아본거라 전체로 따지면 있을 것도 같네요
근데 지수함수는 미적2에서 나왔지 않아여?
아 구나 도형의방정식 관련해서 말씀하시는 건가
고1 수학 단골 우려먹기 소재 ㅋㅋ
안 까먹고 있으면 쉽게 풀리는데
까먹었으면 풀기 난감할 거 같긴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