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학년도 9월 수학 미적 29번 (ft. 증가와 감소의 정의에 따른 합성함수 그래프 그리기, 절댓값 함수의 미분가능성)
증가와 감소의 정의에 따른 합성함수 그래프 그리기, 절댓값 함수의 미분가능성.pdf
<pdf 구성>
1. 'N축 없이', '미분 없이' 증감의 정의에 따라 합성함수 그래프 간단하게 그리기
2. 220929, 배성민T 주간지 문제 풀이
3. 절댓값 함수의 미분가능성 증명, 미분가능하면 연속 증명
별 건 아니고 그냥 제가 합성함수 그래프 문제를 풀 때 루틴처럼 활용하면 표? 에 대해 간단히 적어봤습니다. 그리고는 ㅣf(x)ㅣ 같은 거에서 f(x)가 미분가능할 때 어떻게 되어야 ㅣf(x)ㅣ도 미분가능한지 증명해뒀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호인찌니와 0
그대를나이게
-
옯스타 +공스타 0
@study_flover
-
ㄱㄴ 하냐?
-
@black_hitoribocchi 결국 만들었습니다… 본계와는 달리 그냥...
-
서버가 맛이가면 3
어떻게될까요
-
멘헤라 ㅇㅈ 12
어라
-
개귀찮다
-
전적대 커뮤인 중 가장 위대한 인물
-
0퍼 나와서 다시했는데 왜 또 0퍼인데;;
-
삐삐삐소리
-
션티 nf 0
키스타트 후 nf 수강중인데 너무 어려워요 션티는 보통 연상을 하면서 해석하는거...
-
갑자기 그거 생각나네 17
펠릭스아가일님이 본인 신끼있다고 대충 미래 봐준다고 했었는데 그때 학업운 물어봤는데...
-
님들님들 4
모바일 배그 재밋음?
-
왜클릭...
-
O3 배지 23
입티옵티무슨지 이거 맞음?
-
사랑을 구하지 말 지어라
-
새벽 눈 ㅇㅈ 7
ㆍ
-
레어 사버려서 못버림 이제
-
하..
-
어제 꿈에 1
초딩시절 전여친나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ㅅㅂ 하 ..
-
오랜꿈이다
-
벌레 취급 당할까봐 무서워서 못가겟음뇨 성수동에 좀 유명한 곳으로 예약해놓음
-
수능영어 2등급 이상 떳으면 밤새고 가도 기영은 안뜸
-
미적 기출문제집 0
미적 이번에 첨 시작했고 쎈발점 다 끝내서 문제 양치기하려는데 검더텅 풀까요 아니면...
-
어제가 딱 일주일이었음 오늘도 안보내면 그냥 하...
-
TEAM기초영어 모집함 13
기영단에 합류하라ㅇㅇ
-
텝스 봐야지
-
흐흐 0
오르비언 줍줍
-
본수업에서는 어떤 교재 사용하는건가요?
-
덕코 줍줍하고 1
ㅇㅈ안할거임 ㅅㄱ
-
얼버잠 3
이제 진짜 자러갑니다 님들도 잘자시고 좋은꿈(순대꿈) 꾸세용 빠이
-
브이~ 16
이제 진짜 다 봤을듯
-
생명이랑 생윤 중에서 고정1 받으려면머가 더 오래걸릴까여 + 생명 1등급 생윤만점으로 변경할게여..
-
어리고싶다 6
에휴
-
폰 바꿔야지 0
개똥폰 진쩌
-
오늘 한거 ㅇㅈ 1
식물샵 놀러가서 사장님 거북이랑 놀기
-
대학 가면 ㅇㅈ해야지 13
。◕‿◕。
-
요새 바빠서 떨치지 못했더니 좀...
-
하아..
-
맞팔 구합미다 6
고고
-
쿠킹덤 ㄹㅈㄷ 9
계정 잃어버려서 리세 돌려서 미플 얻고 거짓빛 현질 해서 뽑았더니 흑화한 남도일이...
-
투표좀 0
두닉중 어떤 닉이 저한테 어울렸어용?
-
뭐먹고살아야돼님 0
나랑사귀자(ㄷㄹ)
-
수정) 이미 팜 @black_hitoribocchi
-
지금까지 깨있어버림...
-
막차 13
7
-
뉴런 1
다른 실전개념강의랑 다른점이 뭔가요? 왜 실전개념의 대명사일까요
-
텝스401 0
ㅁㅌㅊ?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한 부분이 필요하시거나, 오류를 발견하시거나, 추가 자료를 요청하고자 하시는 분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확인하는 대로 답변, 자료 제작 해드릴게요.
9평수학다맞으셨나요
시간 재고 풀지는 않아서 점수화시키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14, 15, 20 제외하고 해설은 모두 썼었어요
풀고 느끼는게 적당히 어려운문제가 여러개있으니까 망치기 딱좋은구조인듯합니다
맞아요 ㅋㅋㅋㅋ 저도 처음 풀면서 거의 8~9문제에서 막혔던 것 같아요
두 번째 예제에서 (가) 조건 해석할 때 3가지 case에 대한 합성함수의 그래프가 궁금하신 분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그려서 추가해둘게요.
+두 번째 예제에서 1/(2sqrt(a))=sqrt(b)를 ab=1/4로 바꿀 때 필요충분조건 표시를 했는데 필요충분조건이 아니라 앞이 뒤의 충분조건이네요. 앞은 a>0, b>0을 담고 있지만 뒤는 a<0, b<0이어도 성립하는 상황이니까요. 화살표를 <=>에서 =>로 봐주시면 감사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