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 [다시-보다] _ 한수 파이널 3회 / 생명과학지문
안녕하세요 한수 프렌즈 Diene 입니다.
한수모의고사 파이널 3회 리뷰도 오랜만에 돌아왔습니다.
단순히 모의고사 리뷰 만이 아니라 저 나름대로의 분석과 포인트, 약간의 배경지식을 첨가해 보겠습니다. ㅎㅎ
한수모의고사를 풀지 않으신 분들은 밑줄친 부분과 Chap 2,3을 중심으로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Chap 0 : [총평]
한수모의고사 파이널 3회
[총평]
주제별 전형적인 패턴으로 문항이 출제된 것 같습니다.
비문학에는 정보량은 많았으나 상대적으로 문제가 평이하여 크게 어렵지 않았을 듯 합니다.
문학의 경우 선지가 조금 까다로운 문항들이 있었으나 연계작품들인 만큼 평이한 정도인 듯 합니다.
난도 : 3
(2209 : 1 / 2306 : 4 / 2211 : 11)
평이한 시험입니다.
점수 : 94 (OMR 포함 80분)
(틀린문항 : 7, 35, 37)
Chap 1 : [모의고사 세부리뷰]
[독서]
1. 독서론
최근 기조로 보아 독서론은 충분히 어려워 질 수 있는 퍼텐셜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2 : 두 종류의 학자(ㄱ) (ㄴ)에 대해 대립되는 포인트를 잘 잡고 선지를 분할 판단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독서론에서 정보량이 많거나 까다롭게 출제될 수 있는 만큼, 이런 방법으로 물을 수 있구나 정도 얻어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철학 (가/나 형)
'환경윤리' 라는 공통된 키워드로 가/나 지문이 구성되고 있습니다.
특히 각 학자별 주장하는 생명윤리의 공통점/차이점을 정확히 독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반박->해결) 포인트 (대립구조) 포인트가 많이 등장하므로 이러한 핵심들을 잘 파악하여야 합니다.
(나)지문의 경우 22수능과 마찬가지로 '필자의 비판'이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구조 입니다.
추가로 문항을 먼저 훑어 본다면 '사회생태주의'와 연관된 선지가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읽으면서 어디에 더 힘을 주어야 할 지 판단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3. 법
최근 법/경제로 이분법적으로 나눠지는 지문보다 약간 법과 경제가 섞인 지문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작년 수능도 그러하였고, 충분히 올해 평가원에서도 등장할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정보량이 상당히 많습니다.
총 세가지 핵심적인 포인트가 등장하고 다양한 개념들이 정의되므로
(끊어 읽기)가 중요한 지문이라고 생각됩니다.
새로운 개념이 등장하는 부분, 또는 대립구조가 끝나는 부분에서 문제로 가서 선지판단을 하고 다시 돌아오는 전략이 매우 유리한 지문입니다.
(특히 지문 자체도 각 포인트 별로 나누어져 있어서, 끊어읽기를 한다면 쉽게 해결할 수 있었으리라 생각됩니다.)
4. 과학
정보량이 많아보일 수 있으나, 나열식 지문에 가까운 법지문 보다는 하나의 목적성과 FLOW를 가지고 전개되는 지문입니다.
각 물질들이 어떤 단계에 작용하고 목적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며 독해하고 문제를 해결하면 좋겠습니다.
(이 지문은 Chap 2에서 추가로 다루어 보기로 하죠)
[문학]
사실 이번 3회차의 문학은 연계성이 매우 짙고 특이한 포인트를 가지는 문항은 보이지 않습니다.
공통적으로 (선지 분할판단)이 매우 중요해 보입니다.
대부분의 선지들이 두가지 이상의 정보를 가진 복합형 선지이고, 분할판단시 판단하여야 할 부분이 많이 소거되는 구조라 선지분할 연습에 좋은 것 같습니다.
(최근 평가원에서도 선지를 정확히 분할하여 판단이 용이한 부분부터 판단하면 시간이 단축되는 문항이 많이 보이고 있습니다.)
[언매]
35-36의 '변별력 자질'에 관한 지문이 매우 재미있습니다.
(제 기억으로는) 아직 등장하지 않았던 개념으로, 기존의 표현과 다른 표현을 사용하여 지문과 문항이 구성되어 있기에 좋은 지문-문항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35는 음운체계에 대해 명확히 암기하고 있는지를 확인해 볼 수 있고,
#36은 음운변동에서 조음방법, 조음위치 변동에 대해 묻고 있어 배워갈 만한 문항이라고 생각됩니다.
(특히 조음방법동화, 조음위치동화는 올해 EBS에서 여러번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Chap 2 : [과학지문 포인트 분석_생명과학]
2206, 2306 모두 생명과학지문이 등장하였죠.
일반적으로 과학/기술 지문에서는 (문제->해결) 포인트가 등장합니다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거나 확장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방법)을 도입하거나,
기존의 과학적 설명을 보안/반박 하기 위해 새로운 이론과 설명을 등장시키죠.
아마 실제 해당분야 교수님들이 출제하시는 만큼 실제 학문적 특성을 반영하지 않나 싶습니다.
생명과학은 결이 다소 다르다고 생각됩니다.
기존의 설명들이 여러번 뒤집혀지며 발전한 타 과학과는 과학사적으로 흐름이 다소 다르기 때문입니다.
생명과학지문은 (프로세스) 포인트와 (조절) 포인트가 등장합니다.
(넵. 제가 만들어낸 말 입니다!)
생명현상은 주로 연쇄적인 반응들로 구성되고, 생명공학기술도 이러한 반응을 따르기에
'목적'에 따른 '단계적인 과정'이 핵심적으로 등장하죠.
또한 이 과정에서 새로운 물질, 주변의 환경에 따른 '조절'이 일어납니다.
따라서 지문에 등장하는 복잡한 기호와 용어에 압도되지 말고 적절히 ㄱ, ㄴ 과 같이 치환하여
해당 (프로세스)의 목적과 방향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대표적으로 2306의 경우 Ca이온에 따른 '피드백' 과정을 다루고 있고,
이 (프로세스)의 방향성을 복잡하게 서술하여 난도를 높였습니다.
2306도 각각의 (프로세스)를 분할하고, 방향성을 파악한다면 상대적으로 쉽게 해결 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생명현상을 이용한 것이기에 '조절'이 등장하는데,
주로 선지에서 이 (조절) 포인트로 낚시를 많이 합니다.
조절이 일어나는 위치, 다른 물질 반응과의 선/후 관계 등을 역으로 서술하여 오답선지를 만들어냅니다.
이에 (조절) 포인트가 등장한다면, 언제 어디서 어떻게 조절이 일어나는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Chap 3 : [짤막한 배경지식]
<Central Dogma>
1956년 크릭(DNA이중나선 발견)에 의해 명명된 개념으로
DNA -(전사)-> RNA -(번역)-> 단백질
모든 생명체에서 일어나는 기본적인 유전정보의 흐름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전사는 유전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이중가닥인 DNA에서 단일가닥 mRNA를 만들어 내는 과정으로
세포의 핵에서 일어납니다.
(1차적으로 전사된 후 원시RNA를 가공하는 과정을 거친 후 핵 외부로 배출됩니다)
번역은 이 mRNA의 유전정보를 이용하여 리보솜에서 단백질을 만드는 과정입니다.
이때 이 전사/번역 과정에서 다양한 조절이 일어나는데, 이 조절을 통해 특정유전자를 발현시키기도, 억제시키기도 합니다. 이 조절단계는 생명체의 종류, 기능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전사인자를 통한 전사조절, 오페론에 의한 전사조절 등이 있습니다)
+ DNA에서 전사된 RNA는 모두 단백질로 번역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하는 RNA들로 작용합니다.
대표적으로 아미노산(단백질의 기본단위체)를 운반하는 tRNA,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siRNA, miRNA 등이 있습니다.
++ 이렇게 만들어진 단백질은 일반적으로 리보솜이 위치한 RER(거친면 소포체)에서 소낭(-세포물질의 이동수단)을 통해 골지체로 이동하며, 이 골지체에서 단백질의 입체조를 형성하고, 여러 작용기를 부착합니다.
+++ 골지체는 발견자 Camillo Golgi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류지적, 피드백 등은 언제든지 환영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재명, 후원금 모금 예고…"대한민국 다시 세우도록 힘 보태달라" 1
(서울=뉴스1) 임윤지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5일 "대한민국을 다시...
-
어제부터 계속 이러네 흠냐흠냐….
-
ㅇㅂㄱ 4
피곤하노
-
진짜 너무 저능하고 의지도없고 정신병컨트롤도 아직 안되고 내가 약대...
-
타 강사 실전개념까지 마치고 와야 되나 미적 파데 킥오프 끝내긴 했는데 대부분...
-
어느정도 가능? 등록금은 시립대공대등록금이면
-
취임 한달도 안됐는데…美민주 의원 “트럼프 탄핵안 제출할 것” 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지 한 달도 지나지 않은 상황에서 미국 민주당...
-
ㅈㄱㄴ
-
물리 1 2
필수본+필수본 문제편 > 개학후 > 3순환 > 이렇게만 해도 내신은 2이상 가능?...
-
아주머니가 너무 화들짝 놀라면서 하셔서 괜히 몹쓸짓 한 기분임… 안하면 섭섭할거 같긴한데
-
할머니가 1
중앙대는 아는데 서강대를 모름.. 그래서 공주님 대학이라고 알려줌..
-
이때 1470원에 환전했는데 지금 1445원임 ㅋㅋ 20만원정도 이득봄
-
붙었는데 등록 안 하고 있으면 왜 등록 안 하냐고 전화옴 ㄹㅇㅋㅋ
-
역시 사립 0
방학 때 방과후 안나오면 상담안해준다고 하는데 이거 해야함?
-
경제잼있다 2
경스퍼거가 되... 완자 풀고있는데 문제들이 다 쉽거든요 1등급 만들기 이런문제도...
-
12시간전에 씻었으니까 끝나고 씻어야징
-
채점 하시는 분이 무면허 하다왓냐고 물어봄 ㅋㅋㅋ 고3인데 걍 운전 재능충...
-
전혀 생각 못하고 있었는데 학교 도서관에서 반수하면 박제 당할라나
-
희대의 논제 2
본 학생, 예비고 2 수시등급 2이상이므로(수학제외 올1 수학만4...) 수시에...
-
복영만 돈주고 사서 들어도 ㄱㅊ을까요 확통이입니다 지금 1월중순부터 공부시작해서...
-
덕코가 증발하는군요!
-
정오에 돌아오겠습니다
-
아 유료하다 5
layu is not free
-
이대 셈퍼 4
어제 글 올렸다가 속상해서 지웠습니다 힘내보겠습니다 셈퍼는 이대 발표날 기준 오후 12시 셈퍼입니다
-
모두 붙기를 기도할게요
-
드디어 오늘이네 6
건투를 빕니다
-
내 머리가 안 따라주는 것 같음 우매함의 봉우리라는 나쁜 말은 ㄴㄴ
-
무슨 강의 질문도 못하고 무지성 결제해야됨?
-
(현역)강민철->이원준->김동욱/(재수)김승리->유대종 이렇게 바꾸다가 지금...
-
말이 안뎀
-
쉽다는 의견이 많아서 올해는 너무 쉬운건 다 빼셨다고 했는데 평가원 문제로 치면 중간정도는 되나요
-
현재 배기범 필수본 완강+거기안의 문제 다 품 그리고 배기범 필수본 문제편 그거...
-
3농어촌 썼는데 설마 아니겠지 하나는 모집인원도 좀 많고... 여기저기 물어봤는데...
-
2025년이 왔음
-
로또 번호인줄 알고 벌떡 일어나서 적으니까 로또에서는 나올 수 없는 번호 조합임 뭐지
-
근데 왜 나는 돈을 벌고 있지?
-
“트럼프엔 尹보다 李” 野가 홍보한 美보도, 서울 변호사 기고였다 2
미셸 김 美변호사, 포린폴리시(FP) 기고 ”트럼프에게 더 나은 외교 동맹은...
-
오늘의 아침 0
마라탕 맛도리녀석
-
유빈이... 4
예쁨... 원래 뉴진스 데뷔조였다는데...
-
얼버기 0
-
"KTX 타고 모텔비 내면 끝"…요즘 감사원 돈 없어 현장 못간다 2
감사원 주요 부서의 A과장은 직원 지방 출장을 두고 며칠째 고민 중이다. 직접...
-
홍익대 0
오늘 발표할까요? 홍대 홍익대 조발
-
서울대 조발 3
서울대 조발하게 되면 보통 몇시에 했나요?
-
얼버기 0
어제보단 덜춥네 헬스장 가야지
-
본인 과외쌤이 뉴런하고 시냅스만 해서 뉴런이 3월 15일쯤에 끝나니까 그거나 제대로...
-
얼버기 4
꿈에서 ㅅㅂ 서울대 새로고침만 존나 했다
-
잘생겨지고싶구나 2
-
그냥 편의점에서 900ml 페트 1+1하는거 사서 하루에 한 페트씩 목마를때마다...
문학 국제시장 하나 오류났던데요.
미동도 없다 -> 거친 숨
이거 보자마자 찍고 넘어갔는데 3번 선지가 완전 틀렸지만 1번도 틀렸다고 생각합니다.
헉 확인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치환해서 읽는거는 진짜꿀팁이네요 오늘 아침에 3회 풀었는데 생명과학지문에 과정설명부분이 너무 어렵더라구요 오답안하려고 했는데 저녁에 다시 도전해보겠습니다..
혹시 한수 파이널 전회차 총평을 올리시는 건 아닌가요? 한수 사이트에서 파이널 13회분 구매해서 풀고 있는데, 제가 이감 상상도 같이 풀고 있어서, 상상이랑 한수는 독서론 문학 화작 40분 잡고 연습하고 있는데, 시간이 된다면 비문학 지문들도 선별해서 풀어보고 싶어서 질문드려용!
일부회차만 올리는 거에요! 총 5~6편 정도 올라갈 겁니다
비문학을 선별해서 푸실거면 약한주제로 연습 또는 그나마 자신있는 주제로 완벽히 다지기 둘 중에 하나로 하는게 좋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