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과 예비고3 입니다. 질문좀 드려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게시글 주소: https://banana.orbi.kr/000501221
안녕하세요
이제 고3이 되는 지방 문과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고 지금 현재 수능까지의 계획을 세워보려고 하는데 쉽지가 않네요 ㅜㅜ
어떤식으로 계획을 세우고 학습량을 조절해햐 하는지 알려주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으악으악급해요
-
나: 1학기에 출석 안하고 올F맞고 2학기 휴학할라고 하는데 ㄱㄴ? 입학처 :...
-
아 배고프다 1
신라면 2개 끓여먹어야지~~
-
내놔...
-
공직사회 위기: 젊은 공무원들의 이탈과 저조한 인기 1
한때 인기직업이었던 공무원은 최근 기피직업으로 전락했다.
-
ㅈㄱㄴ ㅜㅜ
-
덕코 내놧 2
내놧
-
한다면 몇시쯤???
-
자퇴하니 뭔가 싱숭생숭하네요 많이 올리지는 못했는데 그래도 국민대 가서 다행......
-
팩트는 나는 그게 안된다는거임
-
최저 포함 모든 수능 점수를 백분위나 표준점수만 유의미한 수치가 되도록 만들어야됨...
-
솔직히 고등학교 때가 훨씬 좋았어요 개인적으로
-
비주얼 문서가 잇음 그저GOAT
-
광역도발 2
이제부터 여기에 내 공부시간 이런거 올릴테니까 이길 수 있으면 이겨봐라
-
아무도 안옴??
-
의대재수금지해라 8
안그러면나죽고떼법으로국민청원올린다.
-
수특 물1이랑 지1이랑 14일쯤에 들어온다고 했던거 같은데 물1은 벌써 들어온거...
-
그나마 재수해도 위안이 되긴하네
-
높2고 미적만 들을건데요 작년에 뉴런 들었는데 나쁘지 않았고 범준쌤은 강x해설...
-
제발 좀 나와라
-
그냥 제일좋기도하는 미국이 사립대 스탠퍼드가 1위라ㅇㅇ
-
뿌직 0
뿡
-
때는 2030년... 모 전공 강의실 ???: 25학번 OOO입니다 - 25학번이...
-
진짜 은근맛있음 양파크림소스도 먹어보고싶고
-
결정 완료 0
라면
-
짜치나요...? 내일 추합 발표인데 붙을것 같아서요..
-
음~
-
이거 사신분들 만족도 높음뇨?
-
3월부터 열심히 하면 메쟈의 갈수 있나요?
-
탐구때문에
-
이시발 교사가 애 죽였으니 교사 감시법을 만들자!!! 스쿨존에서 애가 죽었으니...
-
ㅋㅋ
-
너무 슬퍼졋어 18
밑글보니 ㅁ수생은 현역이랑 놀면 안되고 ㅁ수생끼리 논대요.. 다가가면 시러한다는데...
-
국어 오지훈 수학 오지훈 영어 오지훈 지구 오지훈 사문 오지훈 한국사 오지훈 일본어...
-
베트남 아줌마가 서빙하면 열시미 일하시는거 같아서 보기 좋음
-
이번에 수능 개조져서 대치시대 자연 낮반 가는데 아마 j반일수도 J반에서 정시 의대...
-
국어 김젬마 수학 강영찬 영어 ? 생1 홍준용 지1 나진환 영어 점수만 쓰레기였던...
-
어어 봇치야
-
학식 먹으러 가면 다들 혼밥하고있음 진짜는 팀플 조 원하는 학생들끼리 짜오라는 교수님이다
-
나대신 소리질러줄사람
-
하루에 2시간씩 꾸준히 1년하면 1등급 가능하다고 보시나요
-
미친개념 워크북 0
재수생이고 다음주부터 대성 이미지T 수1 수2 미적 미친개념부터 다시 시작하려하는데...
-
어이없뇨 0
어케감히 나따위가 전능하신 미쿠사마랑 연애한다는 생각을 함?
-
오늘 할것 이지영 직업윤리 복습 기시감 풀기 동아사 슈인장 파트 복습 인강 1개...
-
괜히 애들노는데 끼어들면 그닥 좋은소리 못듣는 그리고 학점에도 집중 가능
-
자지축을박차고 5
자포효하라그대 조국의영원한 고동이되리라
-
점메추 해줘용 13
-
하늘이 법 제정 되면 이제 학교안전 기능을 보완할 방안으로 교원에 대한...
-
당황스럽네 여기 한식집인데.. 나속앗어
-
3학년 1학기 끝나고 선생님이랑 상담할 때 울지 않을까
흠 자신의 지금의 점수와 공부방식 등을 모른상태로 어떤식으로 계획을 세워야 된다고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긴 어렵지만
제가 가장 먼저 드리고 싶은 말씀은 11월 수능만을 위한 계획을 짜시길 추천해 드립니다
6월이나 9월모평을 수능처럼 생각하고 준비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결국 수능으로 가기전의 자신을 점검한다는 의미이지 그 이상으로 두시지 않길 바랍니다. 지나치게 그쪽에 중점을 두시다보면 6/9월의 점수에 자만하거나 너무 절망해 정작 수능에서 빛을 못보는 학생들이 많다는 사실을 알고계셨음 하구요 그렇기 때문에 중간에 어떠한 시험을 만나더라도 자신이 흔들리지 않고 11월을 향해서 달려가는 마음잡는게 아마 계획의 시작이 아닐까 싶습니다
저는 늘 계획을 딱 잡아두고 공부하는 타입은 아니였기에 과목당 몇프로씩 배분하라고 말씀 드리진 못하겠습니다
대신 언어영역같은 경우는 꾸준히 하는게 중요하구요 하루에 2,3지문씩 비문학은 꼭 건들여 주고 문학은 격주째로 봤던 기억이 나네요(현역때) 저같은경우는 언어와 외국어에 자신있었기 때문에 큰 시간투자는 아니였고 1시간~1시간 반정도만 투자했던걸로 기억합니다(전적으로제 방식이니까 자신에게 맞는 방식을 찾길 바랍니다)
수리영역같은경우는 부족한 부분이였기때문에 인강을 통해서 처음부터 개념 다지는 쪽으로 갔구요
하나 추천해드리자면 수리개념노트를 만들어서 수리도 다른 사탐과목 공부할때와 마찬가지로 이 문제에서 적용되는 개념에 대해서 헷갈릴때에는 노트펼쳐보면서 하였고 어떤문제형태는 꼭 어떠한개념으로 연결되는 사레들은 그밑에 정리해둬서 문제유형과 공식 두가지 모두 볼 수 있게끔 그리고 제가 실수핸 부분까지 적어서 수리개념노트 하나 만들었구요
외국어영역같은경우는 큰 비중을 두지 않고 제가 감을 유지하고 틀리는 문법같은걸 ㅊ에크하며 단어를 꾸준히 정리하였습니다. 딱히 시간을 빼서 하는게 아니라 외국어 영역 같은경우는 짜투리 시간들을 활용해서 문제를 풀고 단기간내에 집중해서 문제풀어내는 부분에 조금더 중점을 두었습니다
사회탐구영역같은경우는 인강을 추천하구요 모든 공부든 처음이 중요합니다. 처음 잘못된 방식으로 공부를 하거나 개념을 잘못 이해해버리면 그 개념 고치는데 정말 많은 힘이 들기 때문에 처음부터 선생님과 효율적으로 (인강,현강 상관없이) 정리하기 바랍니다. 6월 이후부터 준비해도 사탐은 고득점이 가능한 과목이니 마늠 지금부터 서두르지 마시고 천천히 준비해서 6월전까지 3과목 준비하신다고 하면 2과목 정도는 한번 쭉 다 훑으시고 꾸준히 복습해 나가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모든 영역에 공통적으로는 기출문제 꼭 보시길 바라고 단순히 푸시지만 마시고 언어영역같은경우는 비문학은 글 구조독해( 특별한 것이 아니라 시간을 두시고 정확하게 읽어내느걸 말합니다. 서론의 어떤말때문에 본로에 이런말이 나왔고 그러한 점이 어떻게 문제로 연결됬는지) 와 같이 늘 생각하시면서 이건 어떤식으로도 나올 수 있을것 같아 라는 생각하면서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겨울방학 잘보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