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N제 200번 문제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631779
200번 문제의 (가) 그래프에서는 이자율이 제시된 기간동안 상승하고 있으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5모 미적 92 9
22, 30 틀렸는데 30은 시간부족으로 손도못댔고 22는 왜틀린지 전혀모르겠음
-
수학만 함 사실 공부 안함 공부했으면 미적 끝났겠다 근데 의미없음 난 아직 미분도...
-
인설약 6
너무 가고싶다 여기가 나랑 과목 비율이 잘맞는다 영어 못해도되고 특히 성약은 과탐...
-
생명 1컷 0
47은 너무 하잖아. 그러니까 46으로 좀 타협해보자 응?
-
국어 화작 80 수학 확통 61 영어 69 사문 46 생윤 44 전문대나 알아봐야...
-
걍 계산 밀었어야되는데 계속 아닌거같아서 고민하다가 걍 끝남
-
엄소연쌤 현강 1
어떤가요..? 공통이여
-
에반데
-
이제 2주 수업했는데 난 개념문제부터 하고 싶은데 유형?문제만 풀어서 내수준이랑...
-
컷이 상당하네요
-
쌍윤 컨텐츠? 1
쌍윤 컨텐츠 풀거 머 있나여?? 사설 모고 N제여ㅕ 인강은 들어본적 앖고 마더텅이랑 현돌 풀었어요
-
인문계 기준이에요 궁금합니당
-
분명풀어본적있는듯한느낌인데책펼치기귀찮아에휴이
-
뚜껑이열려내외제차
-
상대평가라서 0
원점수는 올랐어도 등급이 안오르면 진짜 슬퍼 2509:
-
오지훈t 커리 따라가고있는데 이번에 다해서 n제 해보려하는데 어떤거 추천하시나요?...
-
벌써 4규라니 4
나만 늦는 기분이야
-
어떻게 해야 그렇게 팔로워가 많은거야 똥글 싸지르기?
-
형은 내돈내산으로 사 절대 부러워서 그러는건 아님
-
김기현t 파데로 수학 상하 복습하고 시발점 수1,2로 넘어가는거 ㄱㅊ? 2
반수 하려고 마음먹어서 바로 하려함 현 5등급 정도 나옴 수학 개념좀 부족한거같아서...
-
언매 3모 58-> 5모 95 다른건 다 떨어짐
-
님들 피드백좀 0
어떤말이라도 좋으니......전글참고
-
4규 빨리 와라 11
수분감 그만
-
자사고긴한데 그래도 ㅋㅋㅋㅋ하…나만 80후반이지
-
사실 내 이야기임 조별과제 좆1도ㅑ다
-
안녕하세요 기하 5모 풀이 올립니다 먼저 떠오른 발상들로만 풀었기 때문에 사고과정과...
-
술자리 분위기 느끼고싶다
-
5모 집모 0
85 64 72 27 27 집중이 안된다..
-
내신 범위가 아닌 과목을 다 유기함 이러니 작년 고삼 전교1등이 메디컬 최저를 못맞추는 사태가 나지
-
그치만 이거라도 풀지않으면 6모전까지 순공이 0시간인걸..
-
아오 6
다들 ac중점 잡고 풀었구나 나만 ad중점 e로 푸렀네 아이고 바보야
-
이러다가 진짜 담요단 될거같아서 걱정이네 글씨체가 뭐가 중요하냐고 개떡같이 써도...
-
국어 매주 2회 기출 풀고 분석할 예정(그 중 주 1회는 학원 실모, 나머지는...
-
과탐급은 아니겟죠 아닐거임 ㅎㅎ
-
뱃지는 0
카뱃이 진짜 준나 예쁜 듯 뽀얀게 약간 곰탕느낌
-
과외용 5모 공통 풀이 23
그냥 재미로만 봐주세여
-
하루에 한과목만 잡고 그것만 패는것도 매우 좋을거 같은디 내일 해볼까요
-
ㅈㄱㄴ
-
나 소식이 느려 표점이랑 가성비 알려주세요
-
난 그들의 비밀을 다 알고있음 조심해라
-
팀 06 드가자 3
ㄱㄱ
-
낭만뒤지겠다 영어 백분위 100 불영어 만점자 수석
-
무휴학으로 수능준비한다는 나는 얼마나 오만한 사람인가 1
학교다니며 그것도 20학점 꽉채워들으며 왕복4시간씩 통학하면서 알바까지 하면서...
-
뭔가 정말 묘한 문제 어렵지는 않은데
-
과탐 공부 얼마나 하신건가요 물1 지1으로 평가원말고 교육청이라도 22를 받고싶은데...
-
으흐흐
-
드릴은 풀긴했는데 미적분이 고민이네요 양치기를 해줘야하나…. 너무어려운건...
-
영어교육과가고싶어요
-
하 뭐가 문제지 0
문제점을 못찾겠음
-
5모 과목,점수,등급 국어75(4) 수학33(5) 영어44(6) 생윤37(3)...
경기가 호황이라 자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경우, 이자율이 상승하겠죠
물가도 마찬가지.
그렇다면 정부나 중앙은행 입장에서는 통화량을 줄이는 정책을 시행해야 하는 게 맞겠죠.
경기가 요동치지 않게 막는 것이 두 기관의 역할이니까요.
통화량 감소와 이자율 상승이 함께 일어나나요?? 첨듣네요.. .
http://blog.naver.com/5somin5/186883727
여기서도 통화량 감소가 이자율 상승을 압력한다고 하구요,
http://eiec.kdi.re.kr/click/click/click_view.jsp?sendym=201001&idx=1282
kdi도 통화량과 이자율을 반대 관계로 설명합니다
편의상 자본시장에서 P를 이자율로, Q를 자본거래량으로 하겠습니다. 또한, D는 자본수요, S는 자본의 공급으로 잡도록 하죠.
자본의 수요는 아마 대출 등, 은행에서 돈을 빌리려는 행동을 말하는 것이겠고,
자본의 공급은 시중에 있는 자본의 양으로 보면 되겠네요.
먼저, 시중에 통화량이 증가할 때를 보도록 하죠. 즉, S가 증가한 상황 말입니다.
D 입장에서는 P가 감소합니다. 즉, 이자율이 감소합니다. 돈이 있으니, 대출 수요가 감소하겠죠.
수요법칙에 의하면 말이죠.
여기까지가 님이 거신 링크의 상황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는 D 자체의 움직임보다는 D곡선상에서의 움직임으로 설명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겠죠.
하지만 문제로 돌아가서, 거시경제하에서 AD가 증가했을 때의 이자율을 봅시다.
AS가 일정할 경우, AD가 증가, 즉 경기가 호황일 경우에는 P가 상승한다고 봐야 합니다.
물가 역시, 증가한다고 봐야겠죠.
두 경우는, 경기가 호황일 경우, 기업의 투자 수요와 가계의 소비가 증가하기 때문에 은행 대출이 많아져 이자율이 높아졌다고 봐야 합니다.
그리고 두 번째 링크는 정책금리와 관련된 것으로, 시중금리와는 약간 핀트가 다른 것으로 보입니다
추가된 질문에 대해 답하자면, (정책금리는 중앙은행이 결정합니다)
그래프를 봐야 합니다.
부드러운 그래프를 그릴 경우, 시중금리로 봐야 할 것이고, 일직선의 그래프 (중간중간 바뀌는 지점이 있다 하더라도)는 정책금리 그래프로 봐야겠죠.
그래프에 대해서는 좀 애매한 것이, 물가나 이율이나 직선 그래프들의 연속으로 이뤄져서 매월 측정한 값을 그냥 이어놓은 것으로 보입니다ㅏ..ㅠ(기준금리를 보여준 그래프가 아니라 이자율=시중금리를 보여준 그래프)
그리고 하신 답변이 통화량을 줄이는 것이 이자율이 높은 상황을 고려할 때 세우는 정책이라는 ㄱ 보기에 대한 설명에 적용할 때, AD의 하락으로 물가가 낮아져 화폐 수요가 줄어든다는 설명을 할 수 있을까요? 아니면 어떻게?
매월 변하는 그래프라면 기준금리로 보기 어렵습니다.
ㄱ에서 통화량을 줄이는 정책에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이를 경기안정화 정책이라고 하는데, 경기가 과열되거나 지나치게 침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보통 경기가 고ᆞ열되는 것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통화량을 줄이는 정책을 편다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경기가 과열된다->물가 상승-> 경기안정화정책-> 시중 통화공급 감소 -> AD하락 -> 물가하락.
물론 통화량이 늘면 이자율이 하락하고 줄면 이자율이 상승하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공급의 관점에서 본 것이고 수요의 관점에서 본다면, 자본에 대한 수요가 높고 민간 소비가 늘어난다면 이자율과 물가상승은 동시에 나타날 수 있다고 봐요. 그래프를 보고 싶네요.
그리고 정부는 금리에 대해 관여하지는 않습니다. 중앙은행이 통화량과 이자율을 조절해서 경제 성장과 안정을 도모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따로 설명할 것도 없이 둘 다 증가하는(기울기는 매월마다의 시점을 기준으로 변하는 직선의) 그래프 형태만 있습니다. 그나저나 ㄱ 보기 설명이 필요한데..ㅠㅠ 그부분을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여기서 총수요 증가로 인한 인플레이션을 우려하는 거 같네요. 이자율이 올라가는 것은 기업의 자본에 대한수요 즉, 민간투자가 늘어났고 물가상승이 이자율 상승에 비해 가파른 것으로 보아 민간소비도 증가해서 결과적으로 총수요의 증가로 총수요견인 인플레이션이 작용한 것 아닐까요? 그렇다면 물가 안정을 위해서 긴축정책을 실행해야 하는 게 맞는 거 같습니다.
말로만 보니 답답해서 서점에 와서 문제를 봤는데, 저는 이렇게 이해했는데 이해가 안가시나요??
통화의 수요와 공급 그래프로 이해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통화량의 공급조절은 중앙은행만 가능하니, 수요의 관점에서 보시는 걸루요. 분명히 공급곡선이 움직이면 통화량과 이자율은 정의 관계를 갖지 않고 반의 관계를지니지만, 수요곡선이 움직이면 통화량과 이자율이 정의 관계를 갖으니까요.
감사합니다 ㅎ
이해가 가셨나요?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