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모의평가]지구1 18번 자료분석 및 해설
이건 정말 처음 보는 유형이네요. 그간 태풍 문제는 항상 나왔지만 이런 형태의 유형은 정말 처음 봅니다. 이 문제가 상위권을 가르는 승부처가 되었던 거 같아요.
처음 보는 문제라 겁을 먹으셨을 수도 있습니다. 그치만 뭐, 문제될 건 없습니다. 우린 자료분석이라는 좋은 무기가 있으니까요!
문제부터 읽어보겠습니다. 북반구 해상에서 관측한 태풍의 하층 풍속 분포라고 하는데, 고도 2km 수평면...? 일단 알겠습니다.
자료는 태풍의 풍속을 거리에 따라 나타낸 거네요. 혹시 50m/s로 바람의 세기가 정말 센 곳 보이시나요? 태풍의 눈 근처긴 한데 비슷한 거리의 다른 지점에 비해서 바람의 세기가 더 셉니다.
우리가 태풍에 관한 개념을 공부할 때 다뤘던 것 중 풍속이랑 관련된 개념을 되짚어보도록 하죠. 안전반원에선 풍속이 느리고, 위험반원에선 풍속이 빠릅니다. 그래서 중심부 태풍의 눈의 오른쪽이 위험반원이니까, 이 태풍의 구성은 이렇게 되는거죠
결과적으로 이 태풍은 이런 구성입니다.
이제 문제를 풀어볼게요. 늘 강조하지만 자료 해석이 우선입니다.
ㄱ은 자료를 통해 확인된 내용입니다. 이 태풍은 북서쪽으로 움직이고 있네요.
태풍 중심 부근에서는 기압이 굉장히 낮고 바람이 빠르게 불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표층 해수가 발산하겠죠? 기압이 낮으니 수면이 높아질거고. 그런 만큼 수온 약층의 찬물이 용승합니다.
마지막으로 태풍의 상층 공기. 지금까지 태풍의 공기가 부는 방향은 지표면 기준이었습니다. 그런데 이번엔 상층부를 묻네요?
저기압은 지표부근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불어들어와서 상승한 뒤 하늘에서 시계방향으로 불어나갑니다.
이걸 어떻게 아냐! 이럴 수 있는데 엄연히 교과서에 있는 개념입니다. 이런 선지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개념을 더욱 꼼꼼히 준비하실 필요가 있어요.
실제 교과서에 주어진 그림입니다.
이 문제가 어려울 수 있어요. 이 때 처방전은, 개념과 자료분석을 더 준비해라!! 이겁니다.
일단 18번은 여기까지. 이제 20번 자료분석만 하면 [6월 모의평가]도 끝이군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정말 헷갈리기 쉬웠죠
ㄷ선지 몰라도 답골라져요
ㄱ,ㄴ만 판단하면 맞는문제
수능은 어떻게 될지 모르니....
ㄹㅇ 그래서 n제 푸는거에서 개념서 정독으로 공부 방향 바꿨어요...
작년까지는 지리사회라고 무시했는데
올해부터는 못할 듯
ㄹㅇㅋㅋ
궁금한게 저 단, 조건은 왜 준건가요?
저 자료는 풍속에 대한 자료고, 태풍은 기압이 정말 중요한데 기압이 진행방향에 대해 대칭이라고 가정해야 ㄴ, ㄷ 선지에서 시비가 안 걸릴 수 있어요...대칭이 아니라고 해버리면 교과서에 있는 그림이랑 위배되고(ㄷ), 용승할 때도 균일하다는 전제를 던져야 문제풀이가 수월해집니다
아하 그냥 문제출제를 위한 조건이었군요 지과 올해 첨 했는데 조건을 잘 봐야한다길래 저거보고 순간 풍속그림을 등압선그림으로 착각해서 북동쪽으로 이동해야 그림이 대칭된다 생각해서 ㄱ 선지부터 틀렸네요 ㅠ ㅋㅋ
저도 이분이랑 같음 ㅜㅜ ㅋㅋㅋㅋ 그래서 저도 물어볼려고 들어왔는데 ㅎㅎㅋㅋㅋㅋㅋ
자료엔 풍속이라고 적혀있으니 조심....!!
ㄷ 선지와 같은 부분까지 대비하려면 어떻게 공부하는게 좋을까요?
교과서나 개념서 구석구석에 있는 개념까지 이해하셔야죠.
지구과학이 아니라 지구지엽으로 합시다
상층대기는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아 지균풍이 불텐데 어떻게 불어나가는거죠???
지균풍은 정확히 기압경도력과 전향력이 균형이 되어야 불게 되는거고, 대규모 기상 현상에서 설명되는 개념입니다
아지균퓽이 아니라 경도풍이요 엌ㅋㅋㅋ
경도풍에 작용하는 세 가지 힘이 평형이 될 때 알짜힘이 작용하는 방향을 고려하면 그렇게 불어나갈 수 있죠
태풍의 눈에서도 약한 하강기류니까 시계방향으로 공기가 나가는걸까요??
약한 하강기류라면 약하게 불어나가겠죠(지표기준)
진짜 평가원은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