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대교수되려면..?
GIST 1차 붙고 한양대 화생공 붙었는데요
사람들 말 들어보면 학문에 뜻이있으면 GIST 가라 그냥 취직할거면 한양대 가라 이러는데요
교수라는 직업도 참 메리트잇다고 생각되서그러는데
요새 교수하기 힘든가요? 요새 교수가 연봉 6~7천정도 한다는데 그건 어느정도 했을때 이야긴지 궁금하네여
일반 대기업들어가면 초봉이 3천이라던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분명 어케 푸는지 다 알겠고 길이 정보,각정보 다 알겠는데 넓이의 최댓값>>이거땜에...
-
걱정도 많고 욕심도 많지만 차근차근 쌓아가는 것 말고는 다른 수가 없네요,, 생각한...
-
미적=기하=공통 13
비슷비슷한 논리인듯 다 하나를 잘하면 나머지도 잘할수박에 업다
-
흠
-
정보) 현재 난리 난 N PAY 대란 요약 .jpg 1
https://sbz.kr/zdk1D
-
이러다 한 이틀 뒤면 정상화되긴 할텐데 하고싶은것만 뒤지게많다 그죠
-
고3이고 수학 거의 노베면 시발점 파운데이션 둘중에 뭐가 더 좋을까요?
-
작년부터 여러번 우는 듯
-
인하대vs에리카 1
어디가 나은것 같나요? 과는 인하대 국제통상, 에리카 광고홍보임 고등학교 다니면서...
-
반수를 어케 비밀로 하는 건가요?? 2학기에 휴학하면 대부분 눈치채지 않나요? 또...
-
이번에 첫 수능이엇는데 진짜 체감함 거의 매번1이엇던 영어 2맞고 하나 더틀렷으면...
-
사람이 착하고 투명하고 천진난만해서 그리고 귀여움
-
웬 여캠 인스타 팔로잉 중으로 떠서 황급히 팔취함
-
롤 재밌다 0
응응
-
141129B 11
좀 가라로 푼듯 문제 사진 안올렷다..응..
-
(대충 내가 인싸들의 유희에 당했구나 레어)
-
230311 2
문제가 좀 억지스럽지 않나요. 별로인 듯;;
-
f(k+2)-f(k) 함수를 정의해서 풀었는데 완벽히풀었는데 시발 검토도 네번했는데...
-
그냥받아들이기로했음 23
본계맞팔오르비언 여섯명? 사소해사소해
-
그만큼 재수하기가 너무너무싫엇고 스무살 노는것도 재밌고 수능 1년 더 할 생각하니까...
-
세상이 나를 부정부정 부정맨으로 만든다
-
벌써부터 잠이 오지 않는구나..
-
저번 슴콘에서 선공개한 영상 올린 듯
-
내돈..
-
부모님께 허락받고 올해 재수하기로 한 학생입니다! 시대재종(대치) 수능...
-
피램 마더텅 1
피램 하면서 마더텅 써도 될까요,?.?
-
아무도안와서 부끄럽고 현타와서 그냥 그대로 삭제했었음
-
잘못해서 눈맞으면 으흐흐
-
이왕 재수하는거 1
서울대 목표로 해야지 죽고싶을만큼 재수하기 싫엇는데 이왕 할거 연고대말고 서울대로 간다
-
일단 난 옯스타만...
-
아 저도 취미다운 취미가 있었으면 좋겠어요 선생님들께서는 어떤 취미를 가지고 계신가요,,
-
ㅇㄷㄴㅂㅌㅋㅋㅋ
-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중 하나 가능자면 저의 훌륭한 언어 연습 파트너가 될 테니까요 으흐흐흐흐
-
특목고는 특목고인거 감안하는거 맞죠? 저희학교 3점대도 고대가는데 이걸 일반고식으로 보진 않겟죠?
-
우헤헤
-
인사해주세요 10
반가워요 선생님,, 요즘 제가 왜 살고 있는지 모르겠어요,,,
-
정자의 심정으로 3
3억마리중 자신이 주인공이 될 확률은 1/3억인데 그렇다고 정자중 포기하는놈들이...
-
20대 후반되어서 인생 커리 계산하는데 너무 빠듯해가지고 뭐지 버근가? 싶었는데...
-
아 피곤하네 3
흐으으
-
오늘 글씨 ㅇㅈ 결과 99.9% 확률로 여르비 1명 90% 확률로 여르비 1명 총...
-
시대인재 0
시대인재에 반수반 있나요 있으면 성적은 뭐로 보나요
-
남돌프사 달거나 아니면 끝까지 남르비인척 해라... 배신감 max
-
굿나잇 9
일찍 일어나는게 얼버기인데 일찍 자는건 머라그러지 암튼 잘자요
-
지금 현역이들이 저를 보는게 제가 고3때 등급제 수능 사람 보던 느낌이겠구나 하니까...
-
우웅
-
대학고민입니다. 1
6모 31312 9모 21112 수능 24234 재수해서 이런 성적이 나온 상태인데...
-
라이브 수강생인데 지난 회차 복습영상을 시대인재에 문의하면 구매할 수 있나요??
-
노베인데 올해 간호학과 가고 싶습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어제 기사 보니 대기업 대졸 초봉 높은데가 5600인가 5900 이더라구요 현대모비x ㅇㅇ 한 20위권까지 4000만원 넘어가는듯 (성과급 등 포함)
그리고 교수되는건 보통 테크가 명문대 출신에 외국유학까지 갔다오고 박사따고 이거저거 해야되서 교수되려면 나이도 많죠.... 그리고 하늘의 별따기 수준....
어릴적부터 " 무조건 나는 대학교수를 해야겠다 " 라는 생각을 가지신게 아니라면 한양대 가셔서 일반 취직 강추드립니다. 위에 초봉 5900은 진짜 잘받은 케이스고 보통 3500 ~ 4200정도 받습니다. 적은 경우 3200 정도이지 보통 3000은 아닙니다. 그리고 교수 연봉은 정교수의 경우 1억 정도 되는걸로 압니다..그리고 교수가 되려면 명문대학사 + 외국명문대학 석박사 는 필수입니다.
이것 저것 따지면, 대학별로 차이가 나긴 하지만, 6~7천 훨씬 더됩니다.
대기업 간부 수준은 되요.ㅋㅋ
안그러면 누가 그 어려운 공부해서 교수하겠어요.
교수를 꿈꾸는 분이시라면, 학교보다는 전공을 고민하세요.. 그렇지 않으면 이룰 수 없는 꿈이에요..
교수되려면 대학원을 kaist정도 가지 않으면 국내대학원 학벌로는 대학교수하는건 상당히 힘들죠.
대부분 외국유학을 갔다와야 합니다.
그것도 자교학부교수로 임용되지 않는한, 서울권대학 임용은 상당히 힘들고, 지방쪽 교수를 대부분 노리게 되죠.
솔직히 요새는 GIST도 그닥 메리트 없어요. 역사도 짧고 학부선배도 없는거나 다름없고 공학특성화 학교도 DGIST,Unist등도 많이 생겼죠. 입결이 그렇다고 크게 높은 편도 아니고 어쩡쩡하죠.
애매하겠네요.
교수 이야기하는데 입결 이야기는 왜 나오나요; 그리고 지스트 입결 정도면 충분히 높은 편입니다만.
카이스트나 포항공대(포스텍)같은 이공계특성화 대학에 비하면
최근생긴 이공계특성화 학교는 그것에 비하면 많이 부족하다는 의미입니다.. 많이도 생기고요..
모르시면서 아시는 척 하는거 자제요
요새 교수 임용 추세를 보면
국내박사에 포닥들이 오히려 유학파들보다
임용되는 숫자는 더 많습니다
다만 미국 탑스쿨 출신이면 쉽게 교수가
되는것은 맞기는 합니다
이공계 교수하려면 거의 외국 박사학위가 필요하지요.
서울대든 카이스트든 국내학위만으로 교수자리 구하기는 좀 어려워요..
국박이 오히려 교수되는 수는 오히려 많습니다
다만 확률로는 유학이 좀 더 좋을 뿐
숫자로는 그렇지만, 이른바 주요대 이공계 교수는 거의 외국박사학위+연구실적이 없으면 어렵습니다. 현실은 그렇습니다. 앞으로는 바뀔 때가 오겠지요..
하지만 오늘날 우리의 이공계현실은 선진국에 비해 떨어져 있는 것이 사실이니까요..
교수를 꾼꾸는 이공계학생들 유학 걱정 그렇게 하실 필요 없습니다.
장학금 받고 유수한 외국대학에 유학갈 수 있는 기회가 굉장히 많습니다.
인문계는 극소수만 가능하지만, 이공계는 상당히 기회가 열려 있지요..
제가 있는 분야도 그렇고 많은 분야가
주요 대학에서 요새 임용되는
교수님들의 많은수가 국내박사 출신입니다
외국 출신은 진짜 탑 5~10 정도 되거나
진짜 그분야의 대가에게서
박사를 받으면 모를까.......
또 유학 출신을 대우해 주는 이유는
유학을 가서 거기에 있는 대가들 밑에서
좋은 논문을 쓰고 잘 배워서 우수한
사람이 이미 되었기에 뽑아주는거지
아무 실력도 없는데 MIT나 이런데 나왔다고
뽑아주거나 그러는 학교는 주요 대학중엔
하나도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요새 유학가는거 쉽지 않습니다
우선은 옛날에나 우리나라가 좀 못살고
그래서 미국에서도 한국 학생들한테 펀드를
대주는 경우가 많았지만
요새는 인도나 중국학생들에게 치여서
장학금 물고 유학가는거 아니면
탑스쿨은 교환학생 같은거 가거나
학부때 논문 괜찮은거 좀 쓰지 않은이상
거의 못갑니다.
그리고 장학금 제도도 요새는 이건희 장학금이나
관정, 혹은 국비 유학같은
서포카에서 거의 과탑해야 받을 수 있는
몇몇 장학금들을 빼면 거의
국내 대학원생들을 위한 장학금 뿐입니다
그리고 외국에 비해서 분명 이론이나 순수분야
몇몇을 제외하고는 우리나라도 미국보다 나은
분야도 꽤나 됩니다.
꼭 무리해서 유학을 갈 필요는 없습니다.
즉 유학은 이것저것 다 잘 따져보고
가야되지 무작정 가는건 좋지 않아요
그래서 외국 주요대+연구실적(실력)이라고 말씀 드린 것입니다.
외국대학 학벌만 가지고는 안되지요..
하물며 국내대학 학벌만 가지고는 더더욱 어렵고요.
된다 하더라도 시간강사부터 시작해야 하는 고난의 길이 대부분이고요...
이런한 풍토가 바뀔 날이 오리라는 것은 저도 바랍니다..
그 날은 우리의 이공계 수준이 선진국과 대등한 단계에 이르렀을 때 일거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이공계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으니, 그 날이 앞당겨 질 수 있겠지요..
교수를 꿈꾸며 외국의 유수한 대학에 유학가는 학생들이 무작정 아무데나 유학가는 학생들은 아니지요.
아주 우수한 극소수의 학생들을 말함입니다.
그런 학생들에겐 외국유학 장학금받고 갈 수 있는 길은 상당히 열려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국내에서 나오는 장학금의 종류도 있지만, 외국대학에서 주는 장학금 케이스도 꽤 많아요..
물론 그만한 인재이어야 하지요.. 무의미하고 터무니 없고 가치없는 무작정 유학파에겐 해당되지 않아요..